달빛과 함께 하는 지식한냥

심리학 단어 2

재미있는 심리학 용어 모음 6탄

가르시아 효과 특정 음식을 먹고 구토나 설사 등으로 불쾌한 경험을 하고 난 후 그 음식을 기피하게 되는 심리를 말합니다. ​미국의 심리학자 존 가르시아가 발견한 효과입니다. ​그는 쥐에게 사카린이 든 물을 먹이고 일정 시간 후 감마선을 쏘아 쥐가 먹은 물을 토하게 했습니다. ​그다음 다시 쥐에게 사카린이 든 물을 주면 쥐는 더 이상 사카린이 든 물을 먹지 않았습니다. ​쥐는 사카린이 든 물을 먹어서 토를 했다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가르시아 효과는 '파블로프의 개'처럼 고전적 조건형성의 사례 중 하나입니다. ​가르시아 효과는 생존에 필요한 기능으로 우리가 어떤 음식을 먹었을 때 몸이 거부반응을 일으키면 독이나 세균이 있는 음식이라 생각하고 그 음식을 피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로르샤흐 검사 스위스 ..

알아두면 재미있는 심리학 용어 7탄

디드로 효과 어떤 제품을 구매했을 때 그것과 상관있는 제품을 계속 구매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디드로 효과는 프랑스 철학자 '드니 디드로'의 에세이 [나의 옛 가운을 버린 것에 대한 후회]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디드로는 친구가 멋진 빨간 가운을 선물해 주었습니다. ​그 선물에 마음에 든 디드로는 차츰 그 가운과 어울리도록 가구 빨간색 의자, 책상을 구매했고 결국 모든 가구를 바꾸었습니다. ​이렇게 어떤 제품을 구매하고 그 제품에 어울리는 물건을 계속 구매하는 현상을 디드로 효과라고 합니다. ​램프 증후군 실제로 일어날 가능성이 전무한데도 불구하고 그 일에 대해 수시로 걱정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 알라딘이 램프에서 지니를 꺼내듯 스스로 걱정을 불러내 자신을 괴롭게 합니다. ​ 램프 증후군은 '범불안장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