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빛과 함께 하는 지식한냥
반응형

일반상식 모음/과학, 건강 지식한냥 81

위대한 발견의 순간들 모음 2탄

1.튀는 유전자예전 과학자들은 DNA정보는 벽돌처럼 늘제자리에 있고 변하지 않는것으로 여겨졌습니다.그런데 바버라 매클린톡은 고정된 자리에 있는 유전자가 갑자기 다른자리로 이동하거나 개별 염색체들 사이로 이리저리 움직이는 '튀는 유전자'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또한 유전자의 역활을 스위치에 비유하여 다른 유전자의 활동을 끄고 키는 역활을 한다고 했습니다.당시에는 이러한 주장은 기존의 생각과 너무나 달라서 이러한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그렇게 그녀의 주장은 10년이 넘도록 무시당했으나 다른 연구자가 박테리아의 게놈에서 일부 유전자가 튀는 현상을 발견하면서 이야기가 달라졌습니다.다른 동물에서도 이러한 현상이 발견되었고 암의 원인도 염색체의 구조가 바뀐결과라는 사실과 인체가 수많은 항체를 만들어 낼수 있던..

위대한 과학적 발견의 순간들 모음

1.상대성 이론상대성 이론을 발견한 아인슈타인은 스위스 베른 시계탑에서 영감을 받앗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스위스 베른에는 '치트글로게'라는 시계탑이 있습니다. 치트글로게는 스위스에서 가장 오래된 3대 시계 중 하나로 당시 아인슈타인은 이 근처에서 살고 있었고 재직중이었던 특허국이 있었습니다.아인슈타인은 늘 시계탑을 보고 지냈습니다.그런데 하루는 시계탑과 자신의 손목시계의 시계가 서로 맞지 않다는것을 발견합니다.그때 그는 '혹시 시간은 절대불변의 진리가 아닌 관찰자에 따라 변할수 있는것이 아닌가?'라는 영감이 떠올랐고 상대성 이론이 떠올랐다고 합니다.✅️이 이야기는 유명한 이야기지만 역사적으로 정확하다는 증거는 없습니다. 2.만유인력의 법칙뉴턴이 떨어지는 사과를 보고 만유인력의 법칙을 발견했다는 이야기는..

동물의 암수(암컷 수컷)는 어떻게 구분할까?

일반적으로 동물의 암컷과 수컷은 생식기관, 크기와 체형 차이, 짝짓기 시 행동의 차이 등으로 구분합니다.사람의 경우에도 상대적으로 키가 작고 가슴과 엉덩이가 크면 여자, 키가 크고 근육이 많으면 남자 이런 식으로 구분하죠.대부분의 동물들은 이런 암수 구별방법이 맞지만 일부 동물 특히 곤충의 경우 그러지 않은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그럼 어떻게 암수를 구별할까요? 1. 크기가 크면 수컷, 작으면 암컷이다?생각보다 암컷이 큰 생물은 상당히 많이 있으며 특히 곤충에 많이 있습니다.대표적으로 검은과부거미나 사마귀, 타란툴라 같은 경우 암컷이 수컷보다 큽니다.  2. 페니스가 있으면 수컷이다?대표적인 남성기인 페니스가 달려있으면 남성이고 없으면 암컷으로 구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하지만 암컷이지만 남성기가 있고, 수..

술을 마시면 왜 살이 찔까?

요즘처럼 먹을 것이 넘쳐나는 시대. 살을 빼는 다이어트는 남녀노소 누구가 한 번쯤은 시도하는 일상적인 도전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살을 빼려면 술을 마시면 안된다고 합니다. 술을 마시면 살이 찌기 쉽기 때문이죠. 그럼 술을 마시면 왜 살이 짤까요? 술을 마시면 왜 살이 찔까?생각보다 높은 알코올 칼로리일단, 알콜은 1g당 칼로리가 6 ~ 7Kcal 정도 됩니다. 소주 한병 360ml에 들어있는 알코올 함량이 약 57.2g이라고 하니 소주 한 병을 다 마시면 약 400칼로리를 먹은 셈입니다. 이 정도면 떡볶이 일 인분(300g)이나 갈비탕 1인분을 먹은 것과 비슷한 칼로리입니다. 그런데 이 칼로리 때문에 살이 찌는 이유가 아닙니다.   알코올 때문에 살이 찌는 이유알코올은 학문적으로 흡수율이 100%라고 합..

왜 음식에는 대장균 한마리도 발견되면 안될까?

우리가 먹는 음식에 균이 없어야 하는 것은 일반적인 상식입니다. 그래서 당연히 음식에는 대장균이 한 마리도 없다고 생각하는 게 일반적이죠. 하지만 우리가 생각하는것과 다르게 일반세균은 일정수치만 넘지 않으면 있어도 무방합니다. 오직 대장균만이 한마리도 검출되면 안 되는 것이죠.  그럼 왜 유독 대장균만이 음식에 한 마리도 발견되면 안 되는 것일까요? 음식에 대장균이 발견되면 안 되는 이유대장균은 사람의 장에 상주하는 세균으로 장을 튼튼하게 하고 비타민, 단백질, 아미노산등을 만들거나 분해하는 등 장의 생리적인 기능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균입니다. 대장균은 사람만 아니라 동물에게도 들어있는 일반적인 세균인데 식품의 위생상태 및 오염 가능성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삼고 있죠. 그 이유는 일반적인 자연환경에서는 ..

최근 바코드보다 큐알코드를 더 많이 사용하는 이유

우리가 마트에서 계산할 때 편하게 도와주는 바코드가 있죠. 바코드 스캐너로 한번만 쓱 찍으면 바로 가격부터 여러 정보를 알 수 있어 전 세계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바코드는 노만 조셉 우드랜드라는 드렉셀 대학교 출신의 미국인 발명가에 의해 1949년 개발되었다고 합니다.    QR코드는 1994년 덴소 웨이브라는 일본회사가 개발한 코드로 이차원 바코드입니다. 최초 QR버전은 21X21이었지만 최근에는 177X177까지 확장되었습니다.   최근 바코드보다 큐알코드를 더 많이 사용하는 이유최근 바코드보다 큐알코드를 사용하는 경우가 더 많아졌습니다. 특히, 중국의 경우 세계에서 가장 QR코드를 다양하게 사용하는 나라로 볼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점차 큐알코드로 결제하거나 사이트 이동등으로 많이 사용하는데 그럼..

발화점과 인화점은 어떤 차이일까?

물체가 불타기 위해서는 3가지 조건이 필요합니다. 하나는 연소되는 물질, 두번째는 산소 마지막으로 온도입니다. 여기서 온도의 조건으로 발화점과 인화점의 차이가 생깁니다.  발화점불을 붙이지 않았더도 불이 나는데 필요한 최저온도입니다. 물질을 두고 점점 온도를 높혀나가다 저절로 불타기 시작하는 온도가 발화점입니다, 목재의 경우 250도정도 신문지는 291도, 목탄은 250 ~ 300도 정도 됩니다. 인화점불을 붙였을때 불이 붙는 최저 온도를 말합니다. 보통 석유, 휘발유 등 가연성 증기를 발생시키는 액체 또는 고체가 공기중에서 점화원(불)에 의해 불이 나는데 필요한 최저온도 입니다. 휘발유의 경우 -43도 이하, 등유의 경우 40 ~ 60도 입니다. 그래서 휘발유는 불이 닿는순간 불이 붙지만 등유의 경우 ..

일산화탄소 중독의 발생이유와 위험한 이유

겨울만 되면 매년 해마다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인한 사망기사가 나와 안타까움을 더해줍니다.  80년대는 연탄으로 난방을 하던 가족이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사망하는 사건이 많았다면 최근에는 캠핑하다 사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산화탄소란?탄소를 함유한 유기물이 연소하면 탄소에 산소가 결합한 이산화탄소(CO2)가 발생합니다. 하지만 산소가 부족시 불완전연소가 일어나 일산화탄소(CO)가 발생합니다. 산소가 풍부해도 어느정도 일산화탄소가 생긴다고 합니다. 일산화탄소는 무색, 무미, 무취로 사람이 알아채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일산화탄소가 위험한 이유우리가 폐로 호흡을 할때 들이마신 공기의 20%가 산소입니다. 우리 몸에 들어간 산소는 적혈구에 들어있는 헤모글로빈이라는 물질과 결합하여 우리 몸 전체에 돌아다닙니..

살충제나 벌레 기피제는 인체에 해가 없을까?

여름이 되면 파리나 모기를 죽이기 위해 살충제를 뿌리거나 산에 올라가기 전 벌레기피제를 몸에 뿌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면서 항상 드는 생각이 이 살충제나 벌레기피제가 인체에 어떤 해를 끼치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있습니다. 그럼 살충제나 벌레기피제는 인체에 해가 없을까요?  살충제살충제는 크게 농업용 살충제와 비농업용 살충제로 구분합니다. 농업용 살충제는 농약으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있어 살포시 마스크와 장갑을 착용해야 합니다. 비농업용 살충제는 흔히 가정에서 사용하는 에프킬라같은 가정용 살충제입니다.  가정용 살충제는 인체에 해가 없을까?살충제에 들어가는 성분은 워낙 많아 일일이 다 설명할 수 없지만 가장 대표적으로 쓰이는 피레스로이드계는 사람에게  해가 거의 없습니다. 피레스로이드계는 대표적으로 ..

수소수는 정말 효능이 있을까?

예전에 한창 물에 수소를 첨가한 수소수 열풍이 불었습니다. 요즘은 잘 안보이는데 수소수는 정말 광고하는것처럼 우리 몸에 좋은 효능을 낼까요? 수소는 기체 중에서 가장 가볍고, 물에 잘 녹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수소수에는 수소가 정말 조금 들어있지요. 수소수가 주목받은 이유는 수소수에 들어있는 수소가 '활성산소'를 제거해준다는 연구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2016년 6월 일본 국립건강영양연구소의 연구 발표에 따르면 활성산소를 제거하거나 암을 예방하는 효과에 대한 유효성을 보여주는 데이터가 없다고 합니다.  그리고 수소는 우리 체내에 대량으로 만들어진다고 합니다. 대장 내 장내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는 매일 7 ~ 10리터정도 되고 방귀로 인해 외부로 나오는것을 제외하고 대부분 체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