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빛과 함께 하는 지식한냥

단어의유래 4

빈축, 깡패, 교활, 서민, 샌님의 유래

빈축 빈축(嚬蹙)은 찡그릴 빈(嚬)과 찡그릴 축(蹙)을 써서 말 그대로 찡그린다는 뜻입니다. 이 단어는 서시라는 중국 미녀로부터 유래됐습니다. 서시는 왕소군, 양귀비, 우희와 더불어 중국 4대 미녀라고 불릴 정도로 아름다운 여인입니다. 서시는 월나라 왕 구천의 충신 범려가 오나라 왕 부차에게 바쳤는데 서시의 미모에 빠진 왕이 국정을 게을리해서 오나라가 멸망했다고 합니다. 서시는 아름다운 미인이지만 가슴앓이 병이 있어 평소에는 눈살을 찌푸리고 다녔습니다. 하지만 미인은 찌푸린 모습도 아름다운 법. 사람들은 그 찌푸린 얼굴도 아름답다며 칭송했습니다. 그 모습을 본 동시라는 추녀는 자신도 얼굴을 찌푸리면 사람들이 아름답다고 칭찬할까 봐 자신도 찌푸리는 얼굴을 하고 다녔다고 합니다. 그 모습을 본 사람들은 기겁..

낭패, 술래, 상인, 직성의 유래

낭패 낭패는 이리(狼)와 이리(狽)를 합친 말로 모두 이리를 뜻하는 단어입니다. 이리는 늑대를 뜻하는 말로 요즘은 잘 쓰지 않는 단어입니다. 낭패는 원래 이리모습을 한 요괴를 뜻하는 말로 낭은 뒷다리가 아주 짧거나 혹은 없고, 패는 반대로 앞다리가 아주 짧거나 없다고 합니다. 낭패는 서로 힘을 합쳐야만 걸을 수 있다고 합니다. 낭은 흉폭하고 지혜가 없는 반면, 패는 온순하고 지혜롭다고 합니다. 그래서 사냥 시에는 패의 말을 잘 들어야 사냥에 성공하는데 흉폭한 성격을 지닌 낭은 패의 말을 잘 듣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낭패는 일이 실패했을 때 쓰이는 단어로 쓰고 있습니다. 술래 술래잡기의 유래는 조선 말기 문신 최영년의 저서 [해동죽지]에 나온 '순라희'에서 나왔다고 합니다. 순라희는 순라잡기로 통금시..

숙맥, 사족, 아양, 기별의 유래

숙맥 숙맥은 숙(菽)은 콩을 말하고, 맥(麥)은 보리를 말합니다. 숙맥은 숙맥불변(菽麥不辨)의 줄임말로 '콩과 보리를 구분하지 못한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콩과 보리를 구분 못하는 사람이니 바보라는 뜻이겠죠? 그래서 처음에는 숙맥이 어리석은 사람으로 쓰이다가 나중에는 그 의미가 확장되어서 세상 물정 모르는 사람으로 쓰이게 됐습니다. 그러다 지금은 그 뜻이 더 넓어져서 '숫기가 없거나 지나치게 순정적인 사람'을 뜻하게 됐습니다. 사족 사족은 화사첨족(畵蛇添足)의 줄임말입니다. 화사첨족은 '뱀그림에 발을 더하다'는 뜻입니다. 이 단어의 유래는 [전국책]에서 나왔습니다. 어떤 초나라 사람이 제사를 지내고 집의 가신들에게 술을 주었는데 그 양이 부족하여 서로 나눠먹기보다는 내기를 해서 한 사람이 모두 마..

점심, 난장판, 건달 단어의 유래

점심 점심은 점찍을 점(點), 마음심 (心)을 합친 단어입니다. 이 단어는 중국 남송 시대의 한세충이라는 사람으로부터 유래되었습니다. 한세충은 송나라 명장으로 그의 부인인 양홍옥이라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의 부인은 직접 만두를 빚어 병사들과 나눠 먹을 때가 종종 있었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병사들의 수에 비해 만두 양이 몹시 부족한 날이 있었습니다. 만두의 양이 부족하자 그녀는 병사들에게 '오늘은 만두의 양이 넉넉하지 않으니 마음(心)에 점(點)을 찍으십시오'라고 말했습니다. 이 말의 뜻은 양이 부족하더라도 허기를 달래며 '먹었다'는 기분이 나도록 하라는 뜻입니다. 이 말이 지금의 점심과 중국식 작은 만두인 딤섬의 어원이 됐다고 합니다. 난장판 난장판이라는 말은 조선시대 과거제도 온 말입니다. 조선시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