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빛과 함께 하는 지식한냥

일반상식 모음/문학, 언어 지식 한냥

일본어 숙어 표현과 뜻 모음. 1탄

달빛독서 2023. 9. 6. 15:59
반응형

あいづちをうつ (相槌を打つ)

직역: 맞망치질을 하다.

 

맞장구 치다.

 

우리나라에서는 서로 동조하여 호응하는 것을 맞장구친다라고 하는데 일본에는 맞망치질을 한다고 합니다.

 

 

あわをくう [泡を食う]

직역: 거품을 먹다

 

몹시 놀라거나 겁을 먹었다.

 

원래 泡(あわ:거품)은 '慌(あわ) てる:당황하다'의 '慌(あわ)가 泡(あわ:거품)'으로 바뀐 것입니다.

 

일본은 이런 식으로 발음이 갖은 단어로 바뀌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食(く) う'도 먹다는 뜻 외에도 '좋지 않은 상황에 처하다'라는 뜻도 있다고 합니다.

 

 

반응형

 

 

しりにひがつく [尻に火が付く]

직역: 엉덩이에 불이 붙다.

 

발등에 불이 붙다.

 

우리나라에서는 몹시 급한 상황에 처했을 때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고 하는데 일본은 엉덩이에 불이 붙었다고 하네요.

 

 

いちかばちか [一か八か]

직역: 1일까 8일까?

 

모 아니면 도

 

우리는 이판사판 모든 것을 걸 때 '모 아니면 도'라고 합니다.

 

일본은 '1 아니면 8'이라고 하네요.

 

이 표현의 유래는 도박에서 나왔다고 합니다.

 

당시 도박은 주사위 도박이 유행이었는데 1은 홀수, 8은 짝수를 뜻한다고 합니다.

 

주사위로 홀 짝을 가르기에 이런 말이 나왔다고 합니다.

 

 

かぶとをぬぐ [兜を脱ぐ]

직역: 투구를 벗다

 

항복하다.

 

우리나라에서는 항복할 때 '백기를 들다'인데 일본에서는 투구를 벗는다고 하네요.

 

일본에서는 항복할 때 대장이 투구를 벗었다고 하는데 이 행동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うりふたつ [瓜二つ]

-직역 'うり'와 닮다

 

붕어빵이다, 쏙 빼닮았다

 

'うり'는 참외나 오이 같은 박과식물의 열매를 총칭해서 말합니다.

 

오이와 많이 닮았습니다.

 

이 과일을 둘로 자르면 양쪽이 똑같이 생겼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런 표현이 나왔다고 합니다.

 

 

おくばにものがはさまる [奥歯に物が挟まる]

직역: 어금니에 무언가 끼다

 

무언가 제대로 말을 못 하고 얼버무리다.

 

무언가 제대로 말을 못하고 말을 흐리거나 얼버무릴 때 씁니다.

 

 

はなにつく [鼻に付く]

직역: 코에 붙다

 

질려서 싫어지다.

 

 

なしのつぶて [梨の礫]

직역: 배의 조약돌

 

감감무소식

 

여기서 '梨(なし:배)'는 '無(なし):없음'을 이용한 말장난입니다.

 

이 뜻은 '돌아오지 않는 조약돌'이라는 뜻으로 던진 조약돌이 되돌아오지 않듯이 소식이 없다는 것을 말합니다.

 

 

くさのねをわけてさがす [草の根を分けて捜す]

직역: 풀뿌리를 헤쳐서 찾다.

샅샅이 찾다. 이 잡듯이 뒤진다.

 

무엇인가 아주 꼼꼼히 찾을 때 쓰는 말입니다.

 

 

いちもくおく [一目置く]

직역: 한 점을 두다

 

상대방의 실력을 인정하고 경의를 표하다.

 

이 표현은 바둑에서 나왔습니다.

 

바둑에서 흑은 상대방보다 실력이 떨어지는 사람이 잡습니다.

 

흰돌은 상대적으로 잘하는 사람이 잡고요.

 

그래서 흑을 잡은 사람이 먼저 둡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 점을 둔다는 것은 상대방을 인정하고 경의를 표한다는 뜻으로 쓰이게 됐습니다.

 

 

すずめのなみだ [雀の涙]

직역: 참새의 눈물

아주 조금, 매우 작은 것.

 

조그마한 참새가 눈물을 흘려보았자 얼마나 흘릴까요?

 

그래서 아주 조금, 매우 작은 것을 보고 참새의 눈물이라고 씁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새발의 피', '쥐꼬리만큼'이라는 표현을 씁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