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빛과 함께 하는 지식한냥

일반상식 모음/문학, 언어 지식 한냥

동물 이름의 유래 모음( 하마, 플라밍고, 카나리아, 기린, 악어, 검은과부거미, 카멜레온)

달빛독서 2024. 11. 26. 16:22
반응형

1. 하마(HIPPOPOTAMUS)

하마를 뜻하는 '히포포타무스'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고대 그리스어로 말을 뜻하는 히포(hippos)와 강을 뜻하는 포타모스(potamos)가 합쳐서 생긴 말입니다.

​즉, '강의 말'이란 뜻입니다.

​우리나라의 하마도 이를 그대로 옮겨와 하마(河馬)가 됐습니다.


2. 기린(GIRAFFE)

기린은 19세기 후반까지 영국인들은 'giraffe'가 아닌 'camelo-pards'라고 불렀습니다.

​이 말은 낙타(camel)과 표범(leopard)의 합성어입니다.

​실제로 기린은 낙타와 비슷한 얼굴과 표범처럼 얼룩덜룩한 무늬가 있어서 충분히 그렇게 보입니다.

그러다 지라프(giraffe)라는 이름으로 변했는데 아랍어(zarafa)에서 왔다는 유래입니다.

​'zarafa'는 아랍어로 '빠르게 걷는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3. 플라밍고(FRAMINGO)(홍학)

플라밍고는 스페인어 플라멩코(flamenco)에서 왔습니다.

'flamenco'는 스페인 음악과 춤을 뜻하는 말입니다.

 



​그런데 플라멩코를 추는 무용수는 정열적인 빨간색 의상을 입습니다.

그래서 처음 플라밍고를 본 스페인 사람은 플라멩코를 추는 무용수의 복장이 생각나 그런 이름을 붙이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반응형



그리고 여담으로 플라밍고는 처음부터 분홍색으로 태어난 것이 아니라 하얀 깃털을 갖고 태어난다고 합니다.

​하지만 새우를 먹음으로써 깃털이 분홍색으로 변한다고 합니다. 

 

 

 

 

 

4. 카나리아(CANARY)

이 노랗고 예쁜 작은 새는 옛날 광부들이 독가스가 있나 확인하기 위해 같이 탄광으로 들어갔다고 합니다.

만약 카나리아가 죽으면 그곳은 일산화탄소가 가득 차 바로 대피해야 한다는 뜻이었습니다.

그래서 '탄광 속 카나리아(canary in a coal mine)- 위험의 전조증상'라는 표현이 생겼습니다.

​이 새는 아프리카 해안에 있는 '카나리아 제도'에 왔습니다.

​이 카나리아 제도는 라틴어로 카나리아 인술라(canaria insula)인데 'canaria'는 개를 뜻하는 단어입니다.

​즉, 카나리아 인술라는 '개들의 섬'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처음 카나리아 제도에 왔을 때 야생 들개가 많아서 그런 이름이 붙여졌다고 합니다.

섬 이름을 카나리아로 붙였고 그곳에 있는 새도 카나리아가 됐습니다.




5. 악어(CROCODILE)

크로커다일이라는 이름을 붙인 최초의 사람은 고대 그리스 역사학자 헤로도토스입니다.

그는 나일강에 사는 악어를 보고 '크로코딜로스(krokodilos)'란 이름을 붙였습니다.

​그리고 나중에 이것이 크로커다일로 변했습니다.

크로케(kroke)는 고대 그리스어로 '조약돌'을 뜻하고, 드릴로스(drilos)는 '벌레'를 뜻합니다. 

​악어에게 벌레의 이름을 붙인 이유는 당시 파충류도 벌레의 일종으로 보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악어 껍질이 마치 조약돌처럼 보여서 그런 이름을 붙인듯합니다.

반응형

 


6. 카멜레온(CHAMELEON)

카멜레온은 이름 뒷부분이 'leon'이라는 것에서 '사자'를 뜻하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고대 그리스어에는 'leon'이 사자를 뜻합니다.

​그리고 'chame'은 고대 그리스 단어인  카마이(khamai)에서 나왔다고 합니다.

​카마이는 '지상에서'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카멜레온은 '지상의 사자'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왜 카멜레온을 '지상의 사자'라고 부른지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7. 검은과부거미(BLACK WIDOW SPIDER)
줄여서 블랙 위도우라고 많이 부릅니다.

아마 이 거미는 '타란툴라'와 더불어 가장 많이 알려진 거미일 것입니다.

​그래서 이 거미를 모티브 한 캐릭터가 많이 있습니다.

​마블의 블랙 위도우, 오버워치의 위도우메이커, 리그오브레전드의 엘리스 등이 있습니다.

이 거미에게 과부(widow)라는 이름이 붙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교미 후 암컷이 수컷을 잡아먹기 때문입니다.

사실 사마귀 등 교미 후 수컷을 잡아먹는 곤충은 상당히 많습니다.

​그런데 이 거미에게만 이런 이름이 붙은 걸 보면 신기합니다.

​교미 후 암컷이 수컷을 잡아먹는 점 때문에 서양에서는 남편을 죽이고 유산을 뜯어내는 사악한 부인을 부르는 별칭으로 씁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