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빛과 함께 하는 지식한냥

일반상식 모음/법과 판결 지식 한냥

유료 주차장 화재시 주차장 관리인에게 배상 책임이 있을까?

달빛독서 2024. 12. 29. 11:00
반응형

사례

A 씨는 서울 한 빌딩 주차장에 자신의 차량을 주차했습니다.

​그런데 원인을 알 수 없는 화재가 엔진룸에서 발생했고 차량은 전소되었습니다.

 

A 씨는 자차보험을 통해 보험금을 수령했는데 A 씨의 화재보험회사에서 주자장 관리자에게도 배상 책임이 있다며 구상금 청구소송을 벌였습니다.

​그런데 이경우 차량이 전소한 시간은 약정한 이용 시간을 넘겨서 발생했는데 과연 주자창 관리인도 배상 책임이 있을까요?

 

 

반응형

 

판결

배상 책임이 없다.

​ 1심 2 심은 배상 책임이 있다고 했지만 대법원 판단은 달랐습니다.

 

구 주차장법(2010. 3. 22. 법률 제1015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주차장법’이라고 한다) 제19조의 3 제2항, 제17조 제3항의 규정에 의하면, 부설주차장의 관리자는 주차장에 주차하는 자동차의 보관에 관하여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를 태만히 하지 아니하였음을 증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 자동차의 멸실 또는 훼손으로 인한 손해배상의 책임을 면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는바, 이때 부설주차장의 관리자가 주차장 이용계약에 의해 주차한 자동차의 보관에 관하여 부담하는 선관주의의무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주차장 이용계약에서 정한 주차장 이용 시간에 한한다고 할 것이다.

그런데도 원심은 위와 같은 피고의 주장에 대하여는 아무런 판단을 하지 아니한 채 주차요금 1만 원의 지급으로 이 사건 화재 발생 시까지도 주차장 이용계약의 효력이 유지되는 것으로 보아 피고의 손해배상책임을 인정하고 말았으니, 원심 판결에는 피고 주장에 대한 판단 누락 또는 이 사건 주차장 이용계약의 효력이 미치는 범위에 관한 해석을 그르쳐 심리를 다하지 않음으로써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반응형

 


해설

일반적으로 주차장 관리자는 자신이 보관 중인 차량을 선관주의의무에 따라 관리, 보호할 책임이 분명히 있습니다.

​하지만 주차장 이용 시간이 한정되어 있다던가 기타 주차장의 이용에 대한 특별한 제한 사항이 있다면 그 이외의 시간에 대해서는 책임이 없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하지만 주차장 이용시간이라면 '부설주차장의 관리자는 주차장에 주차하는 자동차의 보관에 관하여 선량한 고나리자의 주의의무를 태만히 하지 아니하였음을 증명한 경우를 제외하고 는 손해배상의 책임을 면하지 못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