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우유, 녹차, 홍차, 우롱차
약을 먹을 경우 맹물을 마시는 게 가장 좋습니다.
하지만 약이 쓰거나 물이 없을 경우 우유나 녹차, 홍차와 마시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 식품과 약을 같이 먹는 경우 약의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같이 먹지 않는 걸 권합니다.
우유의 경우 '장용정' 이라는 약과 같이 먹으면 안 됩니다.
장용정은 장에서 녹는 약으로 위에서 녹지 않게 산에 강한 성분을 넣은 약입니다.
이 장용정은 우유랑 같이 먹을 시 약효가 감소합니다.
그리고 항생제의 경우에도 우유에 들어 있는 칼슘이온이 항생제의 '테트라시클린계'과 '퀴놀론' 성분의 효과를 떨어뜨려 같이 먹으면 안 됩니다.
녹차나 홍차의 경우에는 녹차와 홍차에 들어 있는 ;타닌'이라는 성분이 철분제의 흡수를 방해합니다.
철분제는 철 가루로 만들었는데 '환원철'이라는 산화되지 않는 철입니다.
그런데 차에 들어 있는 타닌 성분이 환원철과 만나면 산화되기 때문에 철분제의 효과가 감소합니다.
2. 카페인
커피나 녹차, 초콜릿에 들어있는 카페인은 일부 약과 같이 섭취 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기관지 확장제인 '알부테롤', '클렌부테롤', '테오피린'과 같은 약과 섭취시 중추신경계를 자극해 불안, 심박수 증가, 흥분과 같은 부작용이 생길 수 있습니다.
3. 훈제고기, 치즈, 간
위 제품에 들어 있는 '티라민'이라는 성분은 일부 약을 섭취 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우울증 치료제, 파킨슨 씨 병 치료제의 일부 약은 티라민이 약물 중 일부가 분해되는 것을 방해해 혈압상승의 부작용이 있습니다.
그래서 고혈압 환자들에게는 더 안 좋습니다.
4. 과일, 채소
바나나, 오렌지, 녹황색채소와 같이 칼륨이 많이 들어 있는 식품은 일부 약과 같이 먹는 것을 삼가야 합니다.
고혈압, 칸데사르탄(심부전 약), 발사르탄, 텔미사르탄과 같은 약과 먹을 시 고 칼륨혈증이라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항응고제 약물인 '와파린'은 비타민k가 많이 들어 있는 녹색채소, 양배추, 청국장, 아스파라거스 등과 같이 먹는 걸 피해야 합니다.
위 식품에 들어 있는 비타민 k가 혈액응고제 작용을 방해하기 때문에 약물의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자몽의 경우 '아토르바스타틴', '심바스타틴' 등 고지혈증 약물이나 항불안제 약과 같이 먹는걸 피해야 합니다.
자몽의 성분이 고지혈증 약물이나 항불안제 약이 분해되는 것을 방해해서 해당 약물의 체내 농도가 높아져 부작용이 생길 우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일반상식 모음 > 과학, 건강 지식한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 콘센트는 왜 45도로 기울어져 있을까요? (0) | 2023.08.28 |
---|---|
가위에 눌리는 이유 (1) | 2023.08.27 |
당뇨병에 관한 짧고 굵은 상식 모음 (2) | 2023.08.26 |
소는 정말 붉은색을 보면 흥분해서 덤벼들까? (0) | 2023.08.26 |
변화구은 어떻게 공이 휘어지는 걸까? (0) | 2023.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