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빛과 함께 하는 지식한냥
반응형

일반상식 모음/일반 지식 한냥 64

안전띠 맬때 주의사항 모음

'안전띠는 생명띠'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사고 시 안전띠는 운전 시 반드시 착용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런 안전띠도 제대로 착용하지 못하면 되려 위험해질 수 있습니다.  ​1. 안전띠가 꼬인 상태에서 매는 경우. 안전띠의 국제 규격은 폭이 4.6cm 이상입니다. 하지만 안전띠가 꼬인 경우 폭이 줄어들게 되고 폭이 줄어만 큼 사고 시 더 큰 충격을 받게 됩니다. ​면적이 줄어든 만큼 충격이 밀집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안전벨트를 맬 때는 줄이 꼬이지 않았나 확인해야 합니다. ​2. 안전띠를 배에 걸치는 경우 골반뼈는 인체에서 가장 단단한 뼈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안전벨트는 골반뼈에 걸쳐서 매야 합니다. ​만약 안전벨트를 배에 매는 경우 충격이 배에 쏠리면서 배 안에 있는 장기들이 다칠 우려가 있습니다..

하스스톤 - 게임을 시작하는 도중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해결방법

하스스톤을 하다보면 때때로 "게임을 시작하는 도중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잠시 후 에 다시 시도해 주세요"라는 문구가 뜨면서 게임을 할수 없을때가 있습니다.  이 경우 다시 해도 소용없고, 재접하거나 다시 게임을 깔아도 안됩니다. 이게 모든것이 그런것은 아니고 되는덱이 있고, 안되는 덱이 있습니다.   이 경우 덱을 삭제하고 다시 만들어야 오류가 해결됩니다.  그러면 다시 게임을 즐길수 있어요.

알아두면 써먹는 심리학 용어 모음 5탄

동조압력의사결정 시 소수의 의견을 가진 사람이 다수의 의견에 대해 암묵적으로 같은 의견을 따르도록 종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대표적으로 자신의 의견이 있어도 주변의 분위기나 눈치가 보여 표현하지 못하는 것이 있습니다. 심리학자 애쉬에 의한 동조 실험에서 사람은 정확하지 않다는 것을 알아도 주의 의견에 동조해 버린다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그는 한 실험에서 아주 쉬운 문제(정답률이 95% 이상)을 냈습니다. ​그런데 앞의 바람잡이 6명이 틀린 답을 선택하자 다른 실험자는 30%나 틀린 답을 골랐습니다. 이런 ​동조 압력은 앞의 바람잡이의 수가 많을수록, 전부 같은 오답을 낼수록 올라갔습니다. ​하지만 바람잡이 중 한 명이라도 정답을 내면 동조율은 5%까지 떨어졌다고 합니다. ​그래서 독재자들은 한 명이라도..

알아두면 재미있는 심리학 용어 모음 4탄

합리화 심리학에서 합리화란 어떤 부정적인 사건에 대해 자신이 느끼는 실망이나 상처를 회피하기 위해 만들어 내는 심리적 기제를 말합니다. 간단히 말해 '~하니까 못하는 게 당연해'와 같은 핑계나 변명거리를 만들어 내는 것을 말합니다.   신 포도 이론 합리화의 메커니즘 중 하나입니다. 이솝우화에 나오는 '여우와 신 포도'에서 나왔습니다. ​'여우와 신 포도'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여우는 포도를 먹기 위해 노력하지만 결국 실패하고 맙니다. 그러면서 '저 포도는 분명 시었을 것이니 못 먹어'라면서 돌아갑니다. 이처럼 자신이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에 달성하지 못했을 때 그 목표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것이 '신 포도 이론'입니다. ​달콤한 레몬 이론 자신이 성취한 목표가 생각보다 좋지 안더라도 너그럽고 좋게 평가하..

현대 심리학의 아버지 - 빌헬름 분트

일반인에게 가장 유명한 심리학자는 '지그문트 프로이트'박사일 것입니다. 하지만 현대 심리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사람은 '빌헬름 분트(wihelm wundt)'입니다.  그는 독일 바덴에서 태어나 튀빙겐 대학, 하이델베르크와 베를린의 각 대학에서 철학과 생리학을 배웠고, 그 후에 라이프치히 대학교수로 재직합니다. 그는 원래 내과의사가 되기 위해 해부학과 생리학을 배웠다고 합니다. 하지만 24살 때 중병에 걸린 후 철학과 종교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그것이 심리학을 전공하게 된 이유가 아닐까 합니다. 과거의 심리학은 철학의 일부분으로 단지 생각으로만 판단했습니다. 하지만 분트는 실험실에서 객관화된 과학적인 방법으로 심리학을 연구했습니다. 그래서 분트가 오늘날 현대 심리학의 아버지라 불리게 된 이유입니다. 분..

알아두면 유용한 심리학 용어 모음 5탄

조명 효과(Spotlight Effect) 자신이 무대 위에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배우처럼 다른 사람들에게 항상 평가를 받고 있다고 느끼는 심리를 말합니다. ​토머스 길로비치가 제안한 심리학 이론으로 그는 참가자에게 촌스러운 티셔츠를 입게 하고 다른 평범한 옷을 입은 다른 참가자들과 실험 준비를 이유로 잠시 동안 함께 있다 오라고 지시했습니다. ​촌스러운 티셔츠를 입은 참가자는 자신이 촌스러운 옷을 입었다고 사람들이 50% 정도 알아챘다고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20% 정도만 그가 촌스러운 티셔츠를 입었다고 기억했습니다. ​이렇듯 실제보다 남들이 자신에게 주목하고 있다고 여기는 심리를 말합니다. ​방관자 효과 사건이나 사고가 났을 때 주변에 사람이 많을수록 오히려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도와주지 않는 현상을 말..

재미있는 심리학 용어 모음 6탄

가르시아 효과 특정 음식을 먹고 구토나 설사 등으로 불쾌한 경험을 하고 난 후 그 음식을 기피하게 되는 심리를 말합니다. ​미국의 심리학자 존 가르시아가 발견한 효과입니다. ​그는 쥐에게 사카린이 든 물을 먹이고 일정 시간 후 감마선을 쏘아 쥐가 먹은 물을 토하게 했습니다. ​그다음 다시 쥐에게 사카린이 든 물을 주면 쥐는 더 이상 사카린이 든 물을 먹지 않았습니다. ​쥐는 사카린이 든 물을 먹어서 토를 했다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가르시아 효과는 '파블로프의 개'처럼 고전적 조건형성의 사례 중 하나입니다. ​가르시아 효과는 생존에 필요한 기능으로 우리가 어떤 음식을 먹었을 때 몸이 거부반응을 일으키면 독이나 세균이 있는 음식이라 생각하고 그 음식을 피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로르샤흐 검사 스위스 ..

하스스톤 매크로(영능 매크로)신고방법

즐겁게 하스스톤을 하다보면 영능만 누르거나 혹은 아무 카드나 내면서 시간을 끄는 매크로가 있습니다. 특히, 별다른 조작없이 영능 버튼 하나만 누르면 방어도가 올라가는 전사에 메크로가 많죠.  이렇게 밧줄 태우면서 시간만 끄는 메크로를 만나면 욕이 절로 나옵니다. 이런 매크로가 있는 이유는 대전이 끝나고 승패유무와 별개로 보상을 주는데 경기 시간이 길수록 보상을 많이 주기 때문입니다. 2022년 8월 31일 24.2 패치로 '게임 내 신고'기능이 생기면서 매크로 신고하기가 편해졌습니다.   신고방법왼쪽 하단의 사람 아이콘을 누르면 최근 플레이어가 뜹니다.  그리고 옆에 화살표를 누르면 신고 목록이 뜹니다.  그다음 치트 목록으로 넘어갑니다.  그리고 봇과 고의 패배 및 강등을 눌러주면 됩니다.   요즘 메..

알아두면 재미있는 심리학 용어 7탄

디드로 효과 어떤 제품을 구매했을 때 그것과 상관있는 제품을 계속 구매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디드로 효과는 프랑스 철학자 '드니 디드로'의 에세이 [나의 옛 가운을 버린 것에 대한 후회]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디드로는 친구가 멋진 빨간 가운을 선물해 주었습니다. ​그 선물에 마음에 든 디드로는 차츰 그 가운과 어울리도록 가구 빨간색 의자, 책상을 구매했고 결국 모든 가구를 바꾸었습니다. ​이렇게 어떤 제품을 구매하고 그 제품에 어울리는 물건을 계속 구매하는 현상을 디드로 효과라고 합니다. ​램프 증후군 실제로 일어날 가능성이 전무한데도 불구하고 그 일에 대해 수시로 걱정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 알라딘이 램프에서 지니를 꺼내듯 스스로 걱정을 불러내 자신을 괴롭게 합니다. ​ 램프 증후군은 '범불안장애(..

재미있는 심리학 용어 모음 8탄

투사(projection)자신의 욕망이나 감정을 다른 사람에게 원인을 찾는 심리 현상을 말합니다.​흔히 경험할 수 있는 방어기제 중 하나로 자신의 감정이나 욕망을 타인이 자신에게 원한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면 자신이 누군가 좋아하면 그 사람이 자신을 좋아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대표적입니다. ​내사(introjection) 투사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외부에서 관찰 가능한 타인의 감정이나 행동을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여 모방하는 것을 말합니다. ​내사는 주로 특정 집단에 속하고 싶은 때나 어린아이가 부모님에게 의지하고 싶은 때와 같이 자신이 느끼는 것을 포기하고 타인에게 의지해 안정감을 느끼는 방식입니다. ​친구나 부모님 또는 동경하는 연예인이나 특정 집단을 흉내 내는 것이 대표적입니다. ​ 부정(denial..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