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부터 로또 추첨번호를 조작한것이 아니냐는 루머는 꾸준히 나왔습니다.
최근에는 이러한 루머가 더욱 커졌는데 그 이유는 로또 당첨번호가 이상하다며 뉴스에 자주 나오기 때문입니다.
로또의 특이한 사례를 살펴보면
2013년 546회에서 1등 당첨자가 30명이 나와 최다 1등당첨자 기록을 보유했는데 2024년 1128회 1등 당첨자가 63명이 나와 기록을 갱신했습니다.
2018년 817회에서는 수동중복당첨자가 나와 세전 93억원이라는 중복당첨금 최고 기록을 세웠습니다.
2019년 850회에서는 4의 배수(16,20,24,28,36)이 나와 화재가 되었습니다.
2023년 1057회에는 2등이 664명이나 나오면서 역대 최다 2등 당첨자를 기록하고 당첨금은 역대 최저인 세전 689만원을 기록했습니다.
2025년 3월 1162회 로또 당첨번호가 20,21,22,25,28,29으로 나왔습니다.
당첨번호가 모두 20번대라서 사람들 사이에서 화재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이번호로도 당첨번호를 모두 맞춘 1등 당첨자는 36명으로 8억2천만원씩 받았다고 합니다.
제 1161회 로또 추첨에서는 자동으로 복권을 구매한 1등 당첨자 10명 중 2명의 구매처가 경기 시흥시 마유로에 있는 한 복권방에 나오면서 조작설이 나왔습니다.
이렇게 신기하고 특이한 사례를 보면서 로또가 조작된것 아니냐는 의문이 있는데 결론부터 말하자면 음모론에 불과합니다.
1. 일정한 규직으로 번호가 나오는것은 확률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조작이다?
2025년 1162회에서는 당첨번호가 모두 20번대(20,21,22,25,28,29)나왔고 1118회에서는 11,13,14,15,16이라는 번호가 나오는등 드물지 않게 특이한 번호가 나옵니다.
그래서 로또가 조작되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이렇게 번호가 나올확률은 제로에 가깝다며 조작절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1,2,3,4,5,6처럼 특이한 번호로 나오는 당첨번호나 12,20,33,37,40,45같이 무작위로 나오는 번호나 확률은 같다는것입니다.
로또의 당첨확률은 약 1/810만 확률인데 그 확율은 어떤 번호조합도 다 들어가 있기 떄문에 뭔가 특별한 규칙의 번호가 나와도 사람의 관념으로 신기할뿐 수확적으로는 무슨 특별한 특이점이 있는것이 아닙니다.
2.로또 당첨 확율이 낮은데 당첨자가 계속 나오는것이 조작때문이다?
매주 로또 당첨자가 나오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로또 당첨 확률보다 더 수많은 로또가 팔리기 때문입니다.
로또 구매자가 가장 많았던 회차는 1106회로 한주동안 1천266억원(1억2천660게임)이 팔렸습니다.
가장 적게 팔았던 회차는 1131회로 1천91억(1억910게임)이 팔렸습니다.
기본적으로 로또 1회차에 매출액이 1천억원으로 1억게임이 넘게 팔립니다.
로또 당첨확률이 1/810만이므로 단순계산만으로도 평균 12명이 나오는게 정상입니다.
그래서 매주 수십명이 당첨되었다고해서 그게 이상한것은 아닙니다.
3.판매종료후 40분 뒤에 추첨하니 조작이다?
로또 추첨시간시간이 판매 종료후 40분후에 추첨을 하는데 그 시간동안 조작하는것이 아니냐는 음모론입니다.
결론부터 맗하자면 미국 파워볼 같은경우도 판매종료 후 1 ~ 2시간뒤에 추첨방송을 합니다.
그런데 이상하게 이걸 녹화방송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는것입니다.
추첨을 판매종료후 40분뒤에 하는데 마치 판매종류후 바로 추첨하고 방송을 녹화한다음 40분뒤 방송한다는 이상한 루머가 떠돌고 있습니다.
sbs 뉴스에서 마치 생방송을 안하는것처럼 제목을 만들었는데 이런 행동이 오해를 부를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이 뉴스에서는 로또는 생방송으로 하지 않다는 이야기는 없습니다.
참고로 가장 많이 구해한 번호조합이 나왔는데 생각보다 1,2,3,4,5,6을 찍는 사람이 많이 있습니다.
이 번호로 조합하면 당첨되어도 200만원 남짓 상금을 받을수 있으니 최대한 위 번호조합은 피하는게 좋습니다.
'경제 지식 한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가절감으로 인해 추락한 기업 (2) | 2025.03.21 |
---|---|
폐업 예정인 홈플러스 매장 폐업시기 모음 (1) | 2025.03.20 |
재건축 재개발 투자시 알아두면 좋은사항 정리 (2) | 2024.12.29 |
이혼 때 받은 재산분할과 위자료에도 세금을 내야 할까? (0) | 2024.12.23 |
방치된 빈집에 부과되는 빈집강제이행금 간단설명 (1) | 2024.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