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빛과 함께 하는 지식한냥

일반상식 모음/과학, 건강 지식한냥

위대한 과학적 발견의 순간들 모음

달빛독서 2025. 4. 4. 11:30
반응형

 

1.상대성 이론

상대성 이론을 발견한 아인슈타인은 스위스 베른 시계탑에서 영감을 받앗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스위스 베른에는 '치트글로게'라는 시계탑이 있습니다.

 

치트글로게는 스위스에서 가장 오래된 3대 시계 중 하나로 당시 아인슈타인은 이 근처에서 살고 있었고 재직중이었던 특허국이 있었습니다.

아인슈타인은 늘 시계탑을 보고 지냈습니다.

그런데 하루는 시계탑과 자신의 손목시계의 시계가 서로 맞지 않다는것을 발견합니다.

그때 그는 '혹시 시간은 절대불변의 진리가 아닌 관찰자에 따라 변할수 있는것이 아닌가?'라는 영감이 떠올랐고 상대성 이론이 떠올랐다고 합니다.

✅️이 이야기는 유명한 이야기지만 역사적으로 정확하다는 증거는 없습니다.

반응형

 

2.만유인력의 법칙

뉴턴이 떨어지는 사과를 보고 만유인력의 법칙을 발견했다는 이야기는 굉장히 유명합니다.

이것이 거짓이라는 이야기도 있고, 말년에 창작해낸것이라는 설 혹은 사과가 떨어지는것을 보기 전에 이미 만유인력의 개념을 알고 있었다 등 여러 이야기가 있죠.

 

뉴턴과 친분이 있었던 영국의 과학자 월리엄 스터클리가 쓴 문서에 따르면 '어느날 저녁을 먹은 두 사람은 사과나무 아래에서 차를 마시고 있었는데, 뉴턴이 이와 같은 상황에서 중력에 대한 개념이 자신의 머리에 갑자기 떠올랐다고 스터클리에게 이야기 했다'라는 문장이 나왔습니다.

 

https://m.blog.naver.com/moeblog/220409083772

 

뉴턴의 사과

뉴턴의 사과 ■ 뉴턴의 사과 프랑스의 화가인 모리드 드니(Maurice Denis)는 “역사상 유명한 사과...

blog.naver.com

 

이런것을 보았을때 뉴턴이 만유인력의 법칙을 발견한것은 사과와 깊은 관계가 있다는것은 부정할수 없겠네요.

 

반응형

 

3.진자의 등시성

1538년 갈릴레이는 진자의 등시성을 처음으로 발견했습니다.

진자의 등시성은 진자가 한번 왕복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흔들리는 폭에 상관없이 항장 일정하며, 다만 그 시간은 진자의 길이와 관련이 있다는것입니다.

간단히 말해 진자의 길이가 길면 길수록 진작 한번 왕복하는데 걸리는 시간(주기)도 길어지는것입니다.

 

갈릴레이가 진자의 등시성을 발견하는것은 그가 19살로 이탈리아의 피사 대학에서 의학공부를 하고 있을때입니다.

어느 날 피사의 한 성당으로 들어간 갈릴레이는 천장에서 길게 늘어져 있는 샹들리에의 흔들림을 유심히 관찰하다 진자의 등시성을 발견했다고 합니다.

 

 

4.진화론

진화론을 만든 찰스 다윈은 1835년 영국의 항해 조사선 지글호를 타고 갈라파고스의 섬으로 갔습니다.

갈라파고스 군도에는 평소 사람들이 관심없는 핀치라는 이름의 십여종의 새들이 살고 있었습니다.

이 핀치 새들은 지역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부리를 가지고 있는게 특징이죠.

 

 

 

다윈은 여러 섬에 사는 핀치새의 부리를 관찰하고 조사한 결과 각 섬의 환경에 따라 새들이 서로 다르게 진화했다는 사실을 깨닫습니다.

그후 ㄷ더 많은 관찰과 연구 끝에 진화론을 발표했습니다.

반응형

 

5.부력

아르키메데스가 부력을 발견하고 유레카를 외친것은 너무 유명한 일화입니다.

어느날 왕은 왕관제작자를 불러 금덩어리를 주면서 새로운 왕관을 만들라고 명령을 내립니다.

얼마후 새 왕관을 받은 왕은 만족했지만, 왕관 제작사가 몰래 금대신 구리를 섞어 왕관을 만들었다는 소문이 들려옵니다.

소문을 들은 왕은 이 왕관이 금으로만 만든것인지 아니면 다른 값싼 재료가 섞인것인지 골치아파했고 아르키메데스를 불러 왕관을 망가뜨리지 말고 다른 재료가 섞인것인지 알아오라고 명령을 내렸습니다.

도저히 방법을 찾지 못한 그는 잠시 몸과 정신의 피로를 풀기 위해 목욕탕에 들어가 물에 몸을 담구었습니다.

그때 아르키메데스는 부력의 원리를 깨달았고 같은 무게의 금과 왕관을 비교해 왕관에 값싼재료가 들어갔다는 사실을 알게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