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빛과 함께 하는 지식한냥

경제 지식 한냥

마케팅에 숨어있는 심리학 2탄

달빛독서 2024. 6. 7. 18:22
반응형

1. 스눕효과

스눕효과(snob effect)는 특정 제품이 유행하면 반대로 그 제품을 사지 않으려는 심리를 말합니다.

 

간단히 말해 남들과 다른 특별한 무언가를 사고 싶어 하는 심리를 말합니다.

 

이것을 이용한 마케팅으로 '한정 판매', '명품' 등이 있습니다.

 

 

2. 매몰 비용 오류

매몰 비용 오류는 과거에 지출된 매몰 비용에 빠져 미래에 발생할 기회비용과 한계비용의 의사결정을 하지 못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지금까지 투자한 게 아까워 계속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것을 이용한 마케팅으로는 게임, 컴플리트 뽑기 등이 있습니다.

 

3. 스티그마 효과

스티그마효과(stigma effect)는 낙인효과라고 합니다.

 

이것은 한번 낙인이 찍히면 그 대상이 실제로 점점 나쁜 행동을 하게 되어 낙인이 찍힌 대로 행동한다는 효과를 말합니다.

 

이것은 특정 경쟁 브랜드에 악플을 남기거나 후기 등을 조작해 경쟁 브랜드의 평판을 낮추는 데 사용합니다.

 

반응형

 

 

4. 빈 둥지 증후군, 마중물 효과

빈 둥지 증후군(empty nest syndrome)은 자녀들이 성장해 부모 곁을 떠나면 중년 주부들이 느끼는 허전한 심리상태를 말합니다.

 

마중물 효과(pump effect)는 경제가 불황일 때 정부가 지출을 늘려 경제에 자극을 주어 활성화시키면 더 이상 정부의 지출 없이 경제가 잘 돌아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둘의 효과를 이용한 것이 '일정 기간 사용 후 구매'가 있습니다.

 

일정 기간 사용 후 구매는 말 그대로 일정기간 무료로 체험해 보고 그 이후 구매 여부를 결정하는 마케팅입니다.

 

소비자는 일정기간 무료로 이용하니 부담 없이 체험해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는 제품 구매를 망설이는 고객에게 효과적인 마케팅이라고 합니다.

 

한번 사용하고 나면 이것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 허전한 심리가 생길 수 있고, 한번 경험해 보니 좋다는 것을 알고 그것을 구매합니다.

 

5. 확증편향

확증편향(confirmation bias)은 자신의 신념에 부합하는 정보는 받아들이지만, 반대의 정보는 의도적으로 배제하는 심리를 말합니다.

 

대표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언론'입니다.

 

특정 정치성향의 언론은 의도적으로 자신의 구독자에게 유리한 정보만 제공하고, 불리한 정보는 숨기는 전략으로 사용합니다.

 

이는 언론만 아니라 유튜버도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반응형

 

 

6. 후회 이론, 손실회피 심리

후회 이론은 사람들이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선택보다 선택하지 않아 발생할 수 있는 후회를 최소한으로 선택한다는 이론입니다.

 

즉, 이득보다는 후회의 경험을 최소 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심리입니다.

 

이를 이용한 대표적인 마케팅이 '보험해지'입니다.

 

보험을 해지하면 혹시 모른 사고나 병에 대해 공포심을 자극해 보험을 계속 유지하도록 합니다.

 

또, 통신사 할인이나 멤버시 혜택 또한 이러한 후회 심리를 자극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