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빛과 함께 하는 지식한냥

일반상식 모음/문학, 언어 지식 한냥

불교에서 온 단어들은 어떤것이 있을까?

달빛독서 2025. 2. 12. 12:03
반응형

우리나라는 오래전부터 불교를 믿어왔습니다.

 

그래서 불교에서 전해져 온 단어들이 많이 있죠.

 

그럼 우리가 일생생활에 쓰는 단어 중 불교에서 온 단어들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처음의 뜻과 다르게 사용되는 단어

각오

쓰이는 뜻: 특정 대상에게 경고나 어떤것을 결심하는 의미

원래 뜻: 잠을 깨는것과 같이 훤하게 진리를 깨닫는다는 뜻

 

강당

쓰이는 뜻: 많은 사람이 한 곳에 모여 의식이나 강연 등을 하는 장소

원래 뜻: 설법을 하는 장소

 

결집

쓰이는 뜻: 많은 사람들이 한곳에 모인 모양

원래 뜻: 불전을 올바로 평가하고 편찬하는 일

 

기특

쓰이는 뜻: 주로 어리거나 아랫사람에게 칭찬할 때 쓰이는 말

원래 뜻: 부처님이 이 세상에 오신 일

반응형

 

 

나락

쓰이는 뜻: 도저히 벗어날수 없는 극한 상황

원래 뜻: 지옥

 

다반사

쓰이는 뜻: 늘 있는 평범한 일

원래 뜻: 차를 마시고 밥을 먹듯이 일상생활이 곧 선으로 연결됨을 상징

 

대중

쓰이는 뜻: 여러 계층의 많은 사람들

원래 뜻: 부처님께 귀의한 신도들을 가리키는 말

 

면목

쓰이는 뜻: 체혐, 얼굴, 생김새 등 용모를 일컫는 말

원래 뜻: 깨달음의 경지에서 나타나는 마음의 본성

 

살림

쓰이는 뜻: 한 집안의 살아가는 형편

원래 뜻: 절의 재산을 관리하는 일

 

주인공

쓰이는 뜻: 사건의 중심에서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사람

원래 뜻: 득도한 인물

 

현관

쓰이는 뜻: 문의 입구

원래 뜻: 깊고 묘한 이치에 통하는 문

 

반응형

부정적인 의미로 바뀐 단어

건달

쓰이는 뜻: 아무일도 하지 않고 게으름을 피우는 사람, 혹은 조직폭력배

원래 뜻: 제석천의 음악을 담당하는 신

 

걸식

쓰이는 뜻: 남에게 음식을 빌어먹음

원래 뜻: 스님이 자기의 몸과 목숨을 돕기 위해 일정한 행의작법으로 밥을 얻는 일

 

아사리

쓰이는 뜻: 질서가 없고 어지러운 곳이나 상태

원래 뜻: 제자의 행위를 교정해 주고 지도하는 고승

 

야단법석

쓰이는 뜻: 시끄럽고 난장판이며 정신없는 곳

원래 뜻: 야외에 자리를 마련하여 부처님의 말씀을 듣는 자리

 

이판사판

쓰이는 뜻: 막다른 궁지, 어찌할수 없게 된 판

원래 뜻: 수행에 전념하는 스님인 이판과 잡역에 종사하며 사찰의 유지에 힘쓴 사판 스님을 말하는 말

 

장광설

쓰이는 뜻: 쓸데없이 말을 너스레하게 펼쳐놓고 진정으로 해야 할 말을 하지 않는 경우

원래 뜻: 부처님께서 중생을 위해 설법한다는 뜻

반응형

 

 

천상천하유아독존

쓰이는 뜻: 천하에 나만큼 잘나거나 뛰어난 사람이 없다고 자화자찬하는 말

원래 뜻: 인간의 존귀한 실존성을 상징

 

투기

쓰이는 뜻: 돈을 투자해 돈을 버는것

원래 뜻: 몸을 던져 부처님의 깨달음을 얻으려 한다는 뜻

 

화상

쓰이는 뜻: 어떤 사람을 못마땅하게 여겨 낮추어 부르는 말

월래 뜻: 수행을 많이 한 스님을 높여 부르는 말

 

반응형

 

다른 종교에서 사용하는 단어

장로

쓰이는 뜻: 개신교 교회 등에서 평신도 최고의 직급

원래 뜻: 학덕이 높고 존경받는 고승

 

전도

쓰이는 뜻: 기독교의 교리를 믿지 않은 사람에게 신앙을 전파하는 일

원래 뜻: 부처님의 가르침을 전하는 뜻

 

천사

쓰이는 뜻: 하느님을 뜻을 전하는 기독교의 사자

원래 뜻: 신의 사자

 

천당

쓰이는 뜻: 하느님이 있는 이상세계

원래 뜻: 하늘나라를 가리키는 단어

 

포교

쓰이는 뜻: 이단이나 타 종교에게 선교를 하는 말

원래 뜻: 부처님의 가르침을 전하는 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