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빛과 함께 하는 지식한냥

분류 전체보기 921

뮌하우젠 증후군, 내사, 이지화, 전위, 해리 간단 설명

뮌하우젠 증후군(Munchausen Syndrome) 뮌하우젠 증후군은 실제로는 신체적 이상이 없음에도 상대방의 관심을 끌기 위해 과장하거나 거짓말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대표적으로 '꾀병'이 있습니다. 뮌하우젠은 18세기 독일의 군인으로 농담을 잘하고 재미있는 소리를 많이 하는 귀족이었습니다. 이 귀족을 모델로 한 [허풍선이 남작의 모험]이 있었는데 이 소설이 인기가 많아지자 소설의 모델인 뮌하우젠은 거짓말과 허풍을 잘하는 사람으로 알려지게 됐습니다. 뮌하우젠증후군은 1951년 영국의 정신과 의사 '리처드 애셔'가 허풍선이 남작의 모험에 따와 불렀습니다. 미국에서는 실제로 남들에게 관심받기 위해 아들을 소금으로 살해한 사건이 벌어진적이 있습니다. https://www.joongang.co.kr/arti..

강박장애, 노출증, 디드로 효과, 램프 증후군, 므두셀라 증후군 간단설명

강백장애 아무런 이유 없이 갑자기 불안해지고, 그 불안감을 없애기 위해 어떤 행동을 반복적으로 하는 것을 말합니다. 보통 사람이라면 한두번 확인하고 넘어가지만 강박장애가 있으면 혹시 자신이 놓친 부분이 있을 거라 생각해 수십 번 반복해서 행동합니다. 강박장애에는 결벽증, 저장강박증(허더), 대칭강박증(대칭이 아니면 불안해지는 강박증), 색상강박증(색깔의 배치와 나열이 규칙적이지 않으면 불편해지는 강박증), 확인강박증(무엇인가를 안 했는지 계속 확인하는 강박증)등이 있습니다. 노출증 성적도착증의 일종으로 자신의 몸을 노출시켜 성적 쾌감을 느끼는 증상을 말합니다. 프랑스 정신과 의사 '샤를 라세그'가 1877년 정신장애의 일종으로 처음 언급했습니다. 남성 노출증의 경우 주로 성기 노출을 하는데 여성 노출증은..

가르시아 효과, 로르샤흐 검사, 주제통각검사(TAT), 고슴도치 딜레마, 바움테스트 간단설명

가르시아 효과 특정 음식을 먹고 설사나 구토등 불쾌한 경험을 하게 되면 그 음식을 피하게 되는 심리를 말합니다. 미국의 심리학자 존 가르시아가 발견한 효과입니다. 그는 쥐에서 사카린이 든 물을 주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 감마선을 쏘아 쥐를 토하게 만들었습니다. 그러자 그 쥐는 두 번 다시 사카린이 든 물을 먹지 않았다고 합니다. 이처럼 가르시아 효과는 '파블로스의 개'처럼 고전적 조건형성의 사례 중 하나입니다. 가르시아 효과는 우리가 살아가는데 필요한 기능으로 우리가 어떤 음식을 먹고 체하거나 설사를 하면 독이나 세균이 있는 음식으로 생각하고 그 음식을 피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로르샤흐 검사 스위스 정신 의학자 '헤르만 로르샤흐'가 고안한 인격 진단검사입니다. 이 검사는 좌우 대칭의 잉크 얼룩을 보여주..

손실 혐오, 조명효과, 캔디 증후군, 안면 피드백 이론, 크레치머의 유형론 간단설명

손실혐오 손실 혐오는 이익보다 손실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심리를 말합니다. 행동경제학자 카더먼이 실험한 시험에서 이러한 현상을 발견했습니다. 그는 사람들에게 두가지 선택 중 한 가지를 선택하라고 했습니다. A: 800만원을 확실하게 받을 수 있다. B: 1000만원을 받을 수 있지만 15%의 확률도 한 푼도 못 받을 수 있다. 그러자 대부분 사람은 A를 선택했습니다. 그리고 다시 두가지 선택 중 하나를 선택하라고 했습니다. A: 800만원을 확실히 내야 한다. B: 1000만원을 내야 하지만 15%의 확률도 한 푼도 주지 않아도 된다. 이번에는 대부분 사람들이 B를 선택했습니다. 카더먼은 사람들이 이익에 대해서는 안정을 추구하지만 위험에 대해서는 조금이라도 손해를 줄일 수 있다면 불안정을 선택한다고 발표했..

달콤한 레몬 이론, 흔들다리 효과, 수면자 효과, 셀프핸디캐핑, 피그 말리온 효과 간단설명

달콤한 레몬 이론 달콤한 레몬 이론은 자신이 달성한 목표가 생각보다 만족스럽지 않더라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심리를 말합니다. 레몬은 영어권에서 쓸모없거나 흠이 있는 사람이나 물건을 말합니다. 흔들 다리 효과 흔들 다리 효과는 흔들리는 다리 위에서 만난 이성이 안정된 다리 위에서 만날 때보다 더 호감도가 올라가는 현상을 말합니다. 넓게 말하면 위기 상황을 함께 한 사람에게 호감을 느끼는 심리현상입니다. 흔들 다리처럼 불안정한 곳에 있으면 긴장과 공포로 인해 심박수가 올라가는데 이를 상대방에 대한 호의로 착각해 호감도가 올라간다고 합니다. 담력 시험, 공포영화, 귀신의 집, 롤러코스트 같은 놀이기구, 운동, 등산 등도 이러한 효과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수면자 효과 신뢰도가 낮은 사람이 전해준 정보가 시간이..

거짓말의 종류는 어떤게 있을까?

방어의 거짓말 자신을 지키기 위한 거짓말입니다. 이러한 거짓말은 어린아이가 부모님에게 혼날 때나 직장 상사, 선생님에게 혼나는 것을 걱정해하는 거짓말을 말합니다. 이러한 거짓말을 순간 위기를 모면하러 본능적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회관계를 위한 거짓말 사회관계를 위한 거짓말로 대표적으로 "식사하셨어요?"라는 질문에 먹지 않아도 먹었다고 말하는 것이 있습니다. 또는 선물 받은 것이 썩 마음에 안 들더라도 선물해 준 성의를 봐서 괜찮다고 말하는 것도 사회관계를 위한 거짓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공상의 거짓말 어린아이가 상상과 현실을 구분하지 못해 하는 거짓말입니다. 혹은 꿈과 현실을 구분하지 못해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것 말고도 마약이나 병, 술로 인해 헛것을 보거나 착각하는 경우도 이에 해당합..

여키스 도슨 법칙, 어퍼메이션, 대상 영속성, 바넘 효과, 신 포도 이론 간단설명.

여키스 -도슨 법칙(Yerkes - Dodson law) 여키스 - 도슨 법칙이란 동기부여가 너무 약하거나 강하면 자기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는 법칙입니다. 동기부여가 되는 상이나 벌이 너무 약하면 굳이 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 집중력이 떨어져 능력을 발휘할 수 없습니다. 반대로 상이나 벌이 너무 강하면 과도한 스트레스와 긴장으로 인해 이또한 제실력을 발휘할 수 없다고 합니다. 적당한 동기부여는 일의 능률을 올리지만 너무 강하거나 약한 동기부여는 오히려 일의 능률을 떨어뜨립니다. 어퍼메이션(자기성취예언) 어퍼메이션(Affirmation)은 자신의 이상과 원하는 것을 긍정함으로써 자신의 잠재력을 이끌어내는 것을 말합니다. 즉, 자신의 목표와 이상을 남들에게 말하고 그것에 대한 긍정적인 상상과 ..

행위자·관찰자 편향, 접종이론, 보사드의 법칙, 로미오와 줄리엣 효과, 사랑의 삼각형 이론 간단설명

행위자·관찰자 편향 행위자·관찰자 편향은 자신의 실수는 문제의 탓이고, 타인의 실수는 그 사람의 탓으로 돌리는 심리를 말합니다. 예를 들면 내가 어떤 문제를 틀렸다면 그것은 그 문제가 너무 어려운 탓이고, 타인이 그 문제를 틀렸다면 그것은 그 타인이 무식해서 틀렸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자신의 행위는 '환경'을 탓하고 타인의 행위는 '그 사람'을 탓합니다.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자신의 행위는 그 누구보다도 잘 알기에 이러한 선택을 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반대로 타인은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간단한 예를 들면 내가 지각을 하는 경우 지하철·버스의 연착, 도로정체, 내려오지 않는 엘리베이터, 꾸물거리는 사람들 등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타인이 지각한 경우에는 그러한 사정을 모르기 ..

오픈 포지션, 사회적 비교이론, 미러링 효과, 동조압력, 귀인 이론 간단설명

오픈포지션(Open position), 클로즈드 포지션(Closed Position) 오픈 포지션과 클로즈드 포지션 모두 상대방의 자세에 따라 마음을 열었는지 닫았는지 알 수 있는 자세라고 합니다. 오픈 포지션은 팔이나 다리를 벌리는 형태를 말합니다. 클로즈드 포지션은 팔이나 다리를 오므리는 자세입니다. 상대방이 자신에게 마음을 열었을 때는 팔을 내리거나 허리를 피고 대하지만 반대로 자신에게 마음을 열지 않고 의심할 때는 팔짱을 끼거나 다리를 꼬고 자신과 상대방 사이에 장애물을 두는 자세를 취한다고 합니다. 사회적 비교이론 자신과 타인의 능력을 비교하는 심리현상을 말합니다.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라 본능적으로 자신과 타인을 비교하려는 심리가 있습니다. 사회적 비교는 상방 비교와 하방비교가 있습니다. 상방비..

앵커링 효과, 자기 감시, 호의의 반보성, 런천 테크닉, 뿔효과 간단설명

앵커링 효과 앵커링 효과는 닻 내림 효과로 사람이 판단할 때 어떤 기준을 잡고 그것으로 판단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아파트를 살 때 그 아파트의 매매 가격이 5억이라고 하는 경우 5억을 기준으로 그 물건이 비싼지 싼 지를 판단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런 앵커링 효과는 일상적으로 자주 사서 시세를 파악하기 쉬운물건에는 형성되지 않고, 처음 사거나 잘 사지 않아 시세에 어둡고 시세를 알기 힘든 물건을 살 때 이러한 현상이 잘 생긴다고 합니다. 자기 감시(셀프 모니터링) 자신의 주변을 관찰하여 자신의 입장을 이해하고 행동을 바꾸는 능력을 말합니다. 간단히 말해 주변의 환경에 따라 자신의 행동이나 표현을 얼마나 적절하게 바꿀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이 능력이 높은 사람은 적당히 주변 분위기를 파악해 눈..